반응형
이차원 밀집도는 두개의 컬럼을 이용하며
kdeplot으로 그릴 수 있다.
seaborn의 타이타닉 데이터에서
https://steadiness-193.tistory.com/78
판다스 - 특잇값(outlier) 찾아내기 : Tukey Fences, Z-score
https://steadiness-193.tistory.com/68 판다스 - 특잇값(outlier) 처리하기 데이터프레임을 다루다보면 여러 아웃라이어들을 볼 수 있다. 이 값들은 가치가 있을 수 있지만 때로는 제외하고 처리해야할 때가
steadiness-193.tistory.com
위 이상치 제거 방법을 fare 컬럼에 적용 후
age 컬럼의 누락행을 삭제하고 다시 age 컬럼의 이상치를 제거한 데이터프레임을 이용한다.
데이터 불러오기
694행만 있다.
이차원 밀집도 그리기
data 옵션이 x축, data2 옵션이 y축이라 생각하면 편하다.
위 그래프에 음영효과를 줄 수 있다.
shade=True를 넘기면 그래프에 음영효과가 들어간다.
주로 낮은 요금과 20-40대 사이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반응형
'시각화 > Seabor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aborn - 관계 그래프 : pairplot (1) | 2020.07.31 |
---|---|
Seaborn - 조인트 그래프 : jointplot (0) | 2020.07.31 |
Seaborn - 바이올린 플롯(바이올린 그래프) : violinplot (0) | 2020.07.30 |
Seaborn - 하나의 axe 객체에 여러 개 그래프 그리기 (0) | 2020.07.30 |
Seaborn - 박스 플롯(박스 그래프) : boxplot (0) | 2020.07.29 |